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반도체 공정] 배선공정(Metallization)-2. 실리사이드(Silicide)

Semiconductor

by 체리 피커 2022. 4. 8. 14:07

본문

4. 실리사이드(Silicide)

  : 단결정 Si과 metal의 compound

    Poly-Si위에 형성시킨 silicide를 polycide라고 부르기도 함

 

    소자의 소스/드레인 영역, 게이트 배선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공정

        - Shallow Junction이 Source Drain 저항을 증가, Contact Area 감소가 Contact 저항을 증가

           , 좁은 Gate Width가 Poly Si Electrode 저항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낮은 저항의 Silicide가 중요

 

         - Semi-Metal 간shottky contact 해결

 

    고온 잘 견뎌 국소 배선에 적용

    낮은 비저항, 열 안정성이 필요

 

 

1) 살리사이드(Salicide,Self Aligned Silicide)

   : Metal이 Si과만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별도의 패턴 공정 없이 원하는 영역에 Silicide를 형성시키는 공정

     Si과 반응을 진행하지 않는 금속을 식각 등으로 제거

 

     Pre-cleaning-> Metal sputter 증착-> 1st RTA-> Un-reacted metal removal-> 2nd RTA

 

출처-  https://www.sciencedirect.com/topics/materials-science/silicide

 

 

 

2) Material

 

C-54 TiSi2-> CoSi2-> NiSi

갈수록 저항, 생성 온도낮음

 

 

Ti Silicide

   : 650℃-700℃, C-49 TiSi2(Orthorhombic, 60-70 μΩ. cm),

     770℃ 이상, C-54 TiSi2(Orthorhombic, 15-25 μΩ. cm)

 

  * Silicide phase transition은 silicon diffusion에 의해 진행

 

 100nm 이하 Ti Silicide 사용 어려움

  - Silicide Bridge: Main Moving Species인 Si이 열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Spacer 위의 Ti 막으로 확산, TiSi2 형성

Spacer 막의 Etch 공정으로 인한 CFx polymers가 남아 있는 경우 TiSi2의 lateral growth가 더 발생 -> Open circuit 문제 

CoSi2, NiSi 경우 Co, Ni이 Main Moving Species이므로 Bridge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개선방법- N2 or NH3 Anneal N2 or NH3가 표면의 Ti와 반응해 TiN 형성함으로써 Si 확산 억제

PAI(Pre-Amorphization Ion Implant): As, Ge 등의 이온 주입을 통한 Si의 비정질화-> TiSi2의  nucleation 향상-> Grain size가 줄어듦 -> Si 확산 억제 낮은 온도의 1st RTA: 미 반응 Ti 제거 및 Si 확산 억제, 이후 2nd RTA 진행

Removal 공정 최적화- 얇게 형성된 Spacer 위의 TiSi2 식각 ATC After Treatment Cleaning): CFx polymer는 HF에서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ATC이후 HF적용

 - Narrow line width effect(세선 효과): Poly-Si 선 폭이 감소에 따라 C49 TiSi2-> C54 TiSi2 transition을 위한 

Nuclei site(grain boundary)의 감소로 상전이에 어려움이 생겨 공정 후에도 저항이 높은 C49 TiSi2가 함께 존재

개선방법- PAI: C49 grain size를 줄여 grain boundary 증가내열합금:  3 성분계를 형성->  grain size가 줄어듦

                                                                                                                   

- Co Silicide

   : 450℃-500℃, CoSi (Cubic, ~150 uΩ. cm),

     600-750℃, CoSi2 (Cubic,  15-20 μΩ. cm)

 

    장: 가장 높은 열적 안정성 

    단: 실리콘 표면 상태에 민감

      얕은 접합 어려움- 실리콘 소모량 많기 때문

      오염 쉬움-주변에 민감하기 때문

      -> Ti/TiN capping Layer 통해 개선-Ti capping: grain boundary에 Ti가 위치해 열공정에서 CoSi2 응집 억제

          TiN capping: 고온 열공정에서 쉽게 응집 발생

          Si의 확산 억제

 

- Ni Silicide

   : 300-500℃, NiSi (Orthorhombic, 10-20 μΩ. cm),

     700℃ 이상, NiSi2 (Orthorhombic, ~35 μΩ. cm)

    

   장: 낮은 저항

        얕은 접합- 실리콘 소모량 적음

   단: 낮은 열적 안정성

 

 

- 응집(열적 안정성 문제)

   : 후속 열공정에 의해 Metal-Si bond가 끊어져 금속원자가 surface energy가 낮은 방향으로 diffusion,

      -> Metal-Si interface의 Si과 반응하여 발생

    개선방법- Capping layer PAI Low Temp ILD 공정

 

- 이상 산화 (Abnormal oxidation)

  : Silicide 형성 시 또는 후 O2 분위기의 열공정으로 인해 발생

    개선방법-  Load Lock 장치 적용해 O2 유입 방지

                  산화반응 억제- 산소가 유입되는 웨이퍼 로딩/언로딩 시 온도를 낮춤

 

 

 

*PAI

: 주입된 이온이 nucleation site를 제공해 grain size 감소

  이온 주입시 ion energy와 NiSi films의 두께는 비례

                   ion implant dosage와 NiSi films의 두께는 반 비례

              - heavy ion PAl에 의한 박막의 high free energy로 silicide nucleation 향상, 주입된 이온이 Si내로의 Ni의 확산을 제한 낮은 ion energy, 높은 Ion implant dosage일 수록 작은 grain size 형성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